⚠️본 점수계산모델은 보험회사의 실제 교통사고율과 TMAP에서 추출된 과속/급가속/급감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개발되었으며 보험개발원 및 금융감독원의 심의를 받은 모델임을 알려드립니다. ⚠️
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 ̄
TMAP의 운전점수는 티맵을 통해 안내받은 GPS경로를 기반으로 산출됩니다.
안전운전 점수는 최근 주행거리를 500km단위로 하나의 구간으로 책정한 뒤 최대 6개 구간의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계산됩니다.
또한, 주행거리가 3,000km가 넘을 경우 가장 과거 시점 구간이 제외되고 새로운 구간이 점수에 반영됩니다.
(단, 구간이 끝나는 마지막 주행을 합산했을 때 500km가 넘어갈 경우 한 구간의 거리는 500km가 넘을 수 있음)
- 예시1) 최신 구간이 490km일 때 마지막 주행이 10km인 경우 : 해당 구간 주행거리는 500km임
- 예시2) 최신 구간이 490km일 때 마지막 주행이 100km인 경우 : 해당 구간 주행거리는 590km임
✅ 운전 데이터 기준
· 과속 : 제한속도 15km/h 이상 초과
· 급가속 : 속도가 3초 이내 30km/h이상 가속
· 급감속 : 속도가 3초 이내 30km/h이상 감속
(※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 가능한 GPS오류를 고려하여 3초간의 속도변화량의 평균 기준으로 급가속/급감속 판단함)
✅ 운전점수 산정 기준
1. 구간 내 발생한 과속, 급가속, 급감속 발생횟수 및 주행거리를 반영하여 산정됩니다.
2. 급감속은 다른 요인보다 사고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더욱 큰 감점요인으로 작용됩니다.
3. 야간운전 시 발생한 감점요인은 주간운전보다 크게 점수가 차감됩니다.⚠️
(야간주행 반영 기준시간 알아보기)
4. 주행거리 대비 감점요인이 책정되므로, 동일한 감점요인이 있더라도 주행거리가 짧다면 점수가 더 낮게 산정됩니다.
- 예시1) 주행거리 500km, 급감속 3회일 경우 점수는 90점대
- 예시2) 주행거리 250km, 급감속 3회일 경우 점수는 70점
5. 구간 별 주행거리에 따라 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, 평균을 산출하여 종합점수가 계산됩니다.
주행거리가 늘어나면서 기존 구간이 삭제되고 신규 구간이 생성되는 시점에 '일시적'으로 점수가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,
꾸준히 안전운전 하신다면 기존 점수를 찾아가거나 더 높은 점수로 상승하니 안심하셔도 됩니다!🚙
더불어, 운전점수는 복합적인 요인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계산되고 있어 급가속 혹은 급감속 횟수에 따른 정량적인 점수의 상승, 하락폭을 안내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.
또한, TMAP에서는 운전점수를 통해 신차구매 혜택, 차량맞춤용품 등의 혜택을 이용하실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.😊